매트록스 G20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트록스 G200은 1998년 5월에 출시된 매트록스의 하이엔드급 그래픽 칩으로, 2D 및 비디오 가속 기능과 더불어 3D 가속 기능을 제공하고자 했다. MGA-G200은 AGP 2x 또는 PC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16MB SGRAM을 사용한다. G200 칩을 사용한 모델로는 밀레니엄 G200, 미스틱 G200, Marvel G200, G200 MMS, G200A, G250 등이 있다. 2D 성능은 뛰어났지만, 3D 성능은 당시 경쟁 제품에 비해 다소 뒤쳐졌으며, OpenGL 지원에 문제가 있었다. G200A는 G200의 개선된 버전으로, G250은 OEM 전용으로 출시되었다. G200 시리즈는 서버 마더보드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래픽스 칩 - 슈퍼 FX
슈퍼 FX는 슈퍼 패미컴 게임 카트리지에 탑재되어 3D 폴리곤 렌더링을 가속화하는 보조 프로세서로, 아르고너트 게임스와 닌텐도의 협력을 통해 《스타 폭스》 같은 게임에서 혁신적인 그래픽을 구현했지만 높은 제조 비용으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다. - 그래픽스 칩 - 인텔 i860
인텔 i860은 VLIW 아키텍처와 빠른 부동소수점 연산 능력을 갖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그래픽 및 부동소수점 연산에 특화되었으나 컴파일러 최적화의 어려움으로 인해 상업적으로는 실패했다. - 그래픽 하드웨어 - 그래픽 처리 장치
그래픽 처리 장치(GPU)는 컴퓨터 그래픽 렌더링 및 표시를 가속화하는 전용 프로세서로,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시작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초기 그래픽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하드웨어 가속 3D 그래픽을 거쳐 인공지능 및 딥러닝 분야에서도 활용되며 다양한 형태로 컴퓨터, 게임 콘솔, 모바일 기기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그래픽 하드웨어 - 하드웨어 오버레이
하드웨어 오버레이는 초기 GUI 환경에서 성능 문제 해결을 위해 개발된 기술로, 응용 프로그램이 독립된 비디오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여 크로마 키 기술로 이미지를 합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스크린샷 호환성 문제와 다중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 그래픽 처리 장치 - 인텔 Xe
인텔 Xe는 저전력부터 고성능 컴퓨팅까지 다양한 시장을 목표로 하는 인텔의 GPU 아키텍처 제품군으로, Xe-LP, Xe-HPG, Xe-HP, Xe-HPC 등의 하위 아키텍처를 가지며 외장 그래픽 카드인 인텔 아크 시리즈와 내장 그래픽, 데이터 센터용 GPU 등에 활용된다. - 그래픽 처리 장치 - 라데온 RX 7000 시리즈
라데온 RX 7000 시리즈는 AMD의 고성능 데스크톱 및 모바일 GPU 제품군으로, RDNA 3 아키텍처 기반, 칩렛 디자인, 향상된 컴퓨트 유닛, 2세대 레이 트레이싱 가속기, AI 추론 가속 등의 특징을 가지며, DisplayPort 2.1과 HDMI 2.1a를 지원하는 "Radiance Display" 엔진과 AV1 하드웨어 코덱을 탑재했다.
매트록스 G200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업체 | Matrox |
출시일 | 1998년 7월 |
중단일 | 단종 |
메모리 인터페이스 | 64비트 |
코어 클럭 | 125 MHz |
메모리 클럭 | 166 MHz |
메모리 대역폭 | 1.06 GB/s |
지원 API | DirectX 5 |
기술 정보 | |
코드네임 | MGA-2164W |
공정 | 0.25 µm |
버스 인터페이스 | AGP PCI |
메모리 용량 | 8 MB 16 MB |
메모리 종류 | SDRAM SGRAM |
특징 | |
특징 | 통합 250 MHz RAMDAC 하드웨어 DVD 지원 OpenGL ICD |
2. 역사
매트록스는 고성능 2D 그래픽 가속기 시장의 선두 주자였으며, 뛰어난 윈도우 가속 성능과 MS-DOS 호환성을 제공하는 제품들을 출시했다. 1994년, Impression Plus를 통해 초기 3D 가속기 시장에 진출했지만, 제한적인 기능으로 인해 주로 CAD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되었다. 1990년대 후반, 엔비디아, 렌디션, ATI 등 경쟁사의 등장과 함께 3D 그래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매트록스는 Mystique 및 m3D (파워VR 협력)와 같은 제품을 통해 3D 가속 기능을 강화했다. [1]
2. 1. 초기 3D 가속 시도 (1994-1997)
매트록스는 수년 동안 고급 2D 그래픽 가속기 시장의 주요 업체로 알려져 왔다. 이들이 생산한 카드는 뛰어난 윈도우 가속기였으며, 밀레니엄 및 미스틱과 같은 일부 최신 카드는 MS-DOS에서도 뛰어났다. 매트록스는 1994년에 3D 가속기 보드 중 하나인 Impression Plus를 통해 혁신을 이루었지만, 이 카드는 텍스처 매핑 기능이 없는 등 매우 제한적인 기능만 가속화할 수 있었고 주로 CAD 응용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했다.[1]엔비디아, 렌디션(Rendition) 및 ATI의 새 카드가 탑재된 PC에서 3D 그래픽에 대한 관심이 느리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매트록스는 3D 가속을 더욱 공격적으로 실험하기 시작했고 Mystique를 제작했다. Mystique는 1997년에 가장 기능이 풍부한 3D 가속기였지만, 양선형 필터링을 포함한 주요 기능은 여전히 부족했다. 그런 다음 1998년 초에 매트록스는 파워VR과 협력하여 파워VR PCX2 칩셋을 사용한 매트록스 m3D라는 추가 3D 보드를 생산했다. 이 보드는 매트록스가 그래픽 프로세서를 아웃소싱한 몇 안 되는 보드 중 하나였으며, G200 프로젝트가 준비될 때까지 버티기 위한 임시방편이었다.[1]
2. 2. 3D 가속 기능 강화 (1997-1998)
엔비디아, 렌디션 및 ATI의 새 카드가 탑재된 PC에서 3D 그래픽에 대한 관심이 느리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매트록스는 3D 가속을 더욱 공격적으로 실험하기 시작했고 Mystique를 제작했다. Mystique는 1997년에 가장 기능이 풍부한 3D 가속기였지만 양선형 필터링을 포함한 주요 기능은 여전히 부족했다.[1] 1998년 초, 매트록스는 파워VR과 협력하여 파워VR PCX2 칩셋을 사용한 매트록스 m3D라는 추가 3D 보드를 생산했다.[1] 이 보드는 매트록스가 그래픽 프로세서를 아웃소싱한 몇 안 되는 보드 중 하나였으며, G200 프로젝트가 준비될 때까지 버티기 위한 임시방편이었다.[1]3. MGA-G200
MGA-G200은 1998년 5월에 출시된 매트록스의 하이엔드급 그래픽 칩이다. 0.35μ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250MHz 또는 230MHz RAMDAC을 탑재했다. 상하 독립적인 64비트 메모리 버스를 가지고 있으며, 최대 16MB의 SGRAM을 지원한다. 인터페이스는 AGP 2x 또는 PCI를 지원한다.
기존 밀레니엄 시리즈는 2D 전용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MGA-G200은 Direct3D 및 동영상 재생 기능을 처음으로 본격 지원했다. 그러나 MC 등에 의한 재생 지원은 하지 않는다.[2] VRAM 증설용 슬롯, DVI-I 출력 커넥터(G200FlatPanel), 캡처 카드(RainbowRunnerG) 등 다양한 옵션 확장을 위한 커넥터가 기판에 준비되어 있었다. 이 시리즈부터 방열판이 장착되었고, VRAM 증설 슬롯 및 모듈이 소형화되었다.
3. 1. 특징
매트록스 G200은 이전 제품의 뛰어난 2D 및 비디오 가속 기능에 완벽한 3D 가속 기능을 결합하고자 했다. G200 칩은 '밀레니엄 G200', '미스틱 G200' 등 여러 보드에 사용되었다. 밀레니엄 G200은 새로운 SGRAM 메모리와 더 빠른 RAMDAC을 탑재했고, 미스틱 G200은 더 저렴하고 느린 SDRAM 메모리를 사용했지만 TV-out 포트를 갖추었다. 대부분의 G200 보드는 8MB RAM을 기본 제공했으며, 추가 모듈을 통해 16MB까지 확장 가능했다. 또한, '레인보우 러너'와 같은 특수 추가 보드를 위한 포트도 있었다.G200은 매트록스 최초로 AGP 전체 기능을 지원하는 그래픽 프로세서였다. 이전 '밀레니엄 II'는 AGP에 적용되었지만 전체 기능을 지원하지는 않았다. G200은 DIME(다이렉트 메모리 실행)을 활용하여 메인 시스템 RAM과의 텍스처 전송 속도를 높였다. 카드 자체 RAM이 부족하면 시스템 RAM을 텍스처 저장소로 사용할 수 있었는데, G200은 이 기능을 지원하는 최초의 카드 중 하나였다.
G200은 "듀얼버스"라는 128비트 코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듀얼 64비트 버스로 구성된다. 각 버스는 단방향으로, 칩 내부 기능 유닛으로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 매트록스는 더 넓은 단일 버스 대신 두 개의 별도 버스를 통해 내부 데이터 경로를 두 배로 늘려 버스 효율성을 개선하고 데이터 전송 지연 시간을 줄였다.[2]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64비트였다.
G200은 완전한 32비트 색상 깊이 렌더링을 지원하여 16비트 색상에서 발생하는 디더링 문제를 제거하고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켰다. 매트록스는 이를 '비브런트 컬러 퀄리티'(VCQ)라고 불렀다. 또한 트리리니어 밉맵 필터링 및 안티앨리어싱을 지원했지만, 이 기능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G200은 2D에서 지원되는 모든 해상도로 3D를 렌더링할 수 있었다. 3D 파이프라인은 단일 텍스처 관리 유닛을 가진 단일 픽셀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되었다. 코어에는 마이크로코드에서 삼각형 설정 엔진을 구현하는 "WARP 코어"라는 RISC 프로세서가 포함되었다.
G200은 방열판 형태의 추가 냉각이 필요한 매트록스 최초의 그래픽 프로세서였다.
3. 2. 모델
보드 이름 | 코어 타입 | 공정 | 코어 (MHz) | 메모리 (MHz) | 파이프 구성 | T&L? | 메모리 인터페이스 | 비고 |
---|---|---|---|---|---|---|---|---|
Millennium G200 | Eclipse | 350 nm | 84–90 | 112–120 | 1×1 | 아니요 | 64비트 | SGRAM. "SD" 모델은 SDRAM을 사용. "LE"는 최대 8MB SDRAM. 250 MHz RAMDAC. AGP/PCI |
Mystique G200 | Eclipse | 350 nm | 84 | 112 | 1×1 | 아니요 | 64비트 | SDRAM. 230 MHz RAMDAC. TV 출력. AGP. |
Marvel G200 | Eclipse | 350 nm | 84 | 112 | 1×1 | 아니요 | 64비트 | SDRAM. 230 MHz RAMDAC. TV 입출력. 추가 I/O를 위한 브레이크아웃 박스. AGP/PCI |
G200 MMS | Eclipse | 350 nm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1×1 | 아니요 | 64비트 | 4 모니터 지원을 위한 쿼드 GPU 그래픽 카드. 일부는 TV 입력 포함. PCI |
Millennium G200A | Calao | 250 nm | 84 | 112 | 1×1 | 아니요 | 64비트 | 다이-축소 G200. "LE"는 최대 8MB SDRAM. 250 MHz RAMDAC. 방열판 없음. 소비 전력 4 와트. AGP/PCI |
Millennium G250 | Calao | 250 nm | 96 | 128 | 1×1 | 아니요 | 64비트 | 오버클럭된 G200A, OEM 전용. |
'''MGA-G200'''은 1998년 5월에 발표된 하이엔드급 그래픽 칩이다. 0.35μ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250MHz 또는 230MHz의 RAMDAC을 1개 통합하고 있다. 상하 독립적인 64비트 메모리 버스를 가지며, 최대 16MB의 SGRAM을 지원한다. 인터페이스는 AGP 2x 또는 PCI를 지원한다.
기존의 밀레니엄 시리즈는 2D 전용이라는 인상이 강했지만, MGA-G200은 밀레니엄 시리즈용 칩으로 처음으로 Direct3D 및 동영상 재생 기능에 본격적으로 대응하였다. 하지만, MC 등에 의한 재생 지원은 지원하지 않는다.[2] VRAM 증설용 슬롯 외에 DVI-I 출력 커넥터(G200FlatPanel)나 캡처 카드(RainbowRunnerG)의 옵션 확장을 위한 커넥터 등, 기판에 다양한 옵션을 확장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 시리즈부터 방열판이 장착되었으며, VRAM 증설용 슬롯 및 증설 모듈이 소형화되었다.
;Millennium G200 SG
: G200 시리즈의 기본 모델이다. 비즈니스용으로, 250MHz의 RAMDAC을 탑재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는 AGP 2x. 메모리 용량은 SGRAM 8MB(옵션으로 16MB로 증설 가능)이다. 바리에이션으로, 일반적인 직사각형 기판과 G400 SingleHead와 같은 계단형 절개 기판이 있다.
;Millennium G200 SD
: SDRAM을 채용하고 방열판을 생략한 염가판 G200. 인터페이스는 AGP 2x 또는 PCI. 메모리 용량은 SDRAM 8MB 또는 16MB. 비디오 메모리 확장은 불가능하다.
;Millennium G200 LE
: 비디오 메모리 외에 RainbowRunnerG, FlatPanel 등 모든 확장용 커넥터 및 방열판을 생략한 최저가 G200. 인터페이스는 AGP 2x. 메모리 용량은 SDRAM 8MB.
;Millennium G250
: 1999년에 제조 공정을 0.25μm로 축소하여 휴렛 팩커드(HP)용 OEM 전용으로 발표된 모델이다. GPU 단독 리테일 판매는 이루어지지 않았다(벌크품 유통만 있었던 것으로 보임). '''G300'''이라고도 불린다. 메모리 용량은 SDRAM 8MB.
;Millennium G200eH
: 2010년경부터 유통된 서버용 G200. 온보드로 16MB의 VRAM을 탑재.
;Mystique G200
: 가정용으로, 230MHz의 RAMDAC을 탑재하고 있다. TV 출력 기능을 탑재(이 때문에 FlatPanel용 확장 커넥터는 생략)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는 AGP 2x. 메모리 용량은 SDRAM 8MB.
기존에는 하위 모델의 칩을 사용하던 Mystique 시리즈가 Millennium 시리즈와 동일한 칩을 사용하게 되었고, 거기에 TV 출력 기능까지 갖추게 되어, 일부에서는 "Millennium과 Mystique의 역전 현상"이라고 표현되기도 했다.
;Marvel G200
: 비디오 입력 기능과 하드웨어 인코딩에 의한 캡처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는 AGP 2x 또는 PCI. 메모리 용량은 SDRAM 8MB.
;Marvel G200TV
: 비디오 입력 기능과 TV 튜너, 그리고 하드웨어 인코딩에 의한 캡처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는 AGP 2x 또는 PCI. 메모리 용량은 SDRAM 8MB.
;Millennium G200 Dual (G200 DL)
: MGA-G200을 2개 탑재하여 2화면 출력을 가능하게 한 모델. 인터페이스는 PCI. 메모리 용량은 SDRAM 8MB × 2. D-sub 15 × 2 전용과 D-sub 15 × 2 및 DVI-I × 2 겸용 버전이 있다.
;Millennium G200 Quad (G200 MMS)
: MGA-G200을 4개 탑재하여 4화면 출력을 가능하게 한 산업용 모델. 인터페이스는 PCI. 메모리 용량은 SDRAM 8MB × 4. D-sub 15 × 2 전용과 D-sub 15 × 2 및 DVI-I × 2 겸용 버전이 있다.
;Millennium G200 Quad (G200 MMS) with TV-Tuner
: MGA-G200을 4개 탑재하여 4화면 출력을 가능하게 한 산업용 모델. TV 튜너 포함. 인터페이스는 PCI. 메모리 용량은 SDRAM 8MB × 4. D-sub 15 × 2 전용과 D-sub 15 × 2 및 DVI-I × 2 겸용 버전이 있다.
4. MGA-G100
'''MGA-G100'''은 1998년 4월에 출시된 보급형 그래픽 칩이다. MGA-G200의 저가형 모델로, 0.35μ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230MHz RAMDAC를 1개 내장하고 있다. 상하 독립적인 64bit 메모리 버스를 가지며, 최대 8MB의 SGRAM을 지원한다. 인터페이스는 AGP 1x이다.
MGA-G200과 핀 호환성을 가지며, DVI-I 출력 커넥터(G200FlatPanel)나 캡처 카드(RainbowRunnerG)와 같은 확장 옵션을 위한 커넥터가 기판에 준비되어 있어 기능 확장이 가능하다.
4. 1. 모델
Productiva G100은 비즈니스용으로 출시되었으며 230MHz의 RAMDAC을 탑재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는 AGP 1x이다. 메모리 용량은 SDRAM 4MB 또는 8MB이다.[1] 개인용으로는 3dfx Voodoo2의 2D용으로 많이 사용되었다.Productiva G100 LE는 RainbowRunnerG, FlatPanel 등 모든 확장용 커넥터를 생략한 보급형 G100이다. 인터페이스는 PCI이다. 메모리 용량은 SDRAM 4MB 또는 8MB이다. 기판이 G400SingleHead와 같은 계단 모양의 절개 형태를 하고 있다.[1]
5. 성능
G200은 2D 성능이 매우 뛰어났으며, 매트록스의 명성 높은 아날로그 신호 품질을 제공했다. 매우 높은 해상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이전 모델인 밀레니엄 II를 능가했다.[2]
3D 성능은 Direct3D에서 단일 Voodoo2와 비슷하거나 일반적으로 뒤처졌으며, NVIDIA 리바 TNT와 S3 세비지 3D보다 느렸다. 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았고 확실히 경쟁력이 있었다.[3][4] 32비트 색상 지원(드라이버 버그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으로 인해 G200의 3D 이미지 품질은 최고 중 하나로 여겨졌다.
G200의 가장 큰 문제는 OpenGL 지원이었다. 출시된 지 상당 기간 동안 ''Quake II''와 같은 인기 게임에서 느린 OpenGL-to-Direct3D 래퍼 드라이버를 사용해야 했다. 이는 OpenGL을 Direct3D 드라이버에서 실행되도록 변환하는 레이어였다. 이로 인해 G200의 성능이 이러한 게임에서 크게 저하되었고, 매트록스의 지속적인 지연과 약속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었다.[5] 실제로 OpenGL 드라이버가 성숙하고 빨라진 것은 G200의 후속 제품인 G400이 출시된 후였다.
초기 드라이버는 Direct3D에서도 몇 가지 문제점을 보였다. 예를 들어, ''언리얼''에서는 보드의 서브 픽셀 정확도 기능의 버그로 인해 지면 텍스처에 왜곡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밉 매핑(mip-mapping)으로 인해 텍스처에 깜빡임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드라이버가 성숙해지면서 이러한 문제들은 사라졌다.
6. G200A & G250
1999년경, 매트록스는 G200의 개선판인 G200A를 출시했다. G200A는 G200의 350nm 공정 대신 새로운 250nm 제조 공정을 사용했다. 이를 통해 매트록스는 웨이퍼당 더 많은 그래픽 프로세서를 제작할 수 있었고, 칩의 발열량도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G200A는 G200과 같은 클럭 속도로 작동하면서도 방열판이 필요 없었다. G200A의 최종 개선판은 G250으로 명명되었으며, 코어 및 메모리 클럭 속도가 다소 더 높았다. 또한, G400과 동일한 6ns SGRAM 칩을 사용했지만, G200 및 G200A는 7ns SGRAM 칩 4개를 사용한 데 비해 G250은 2개만 사용했다. G250은 OEM 전용으로 공급되었으며, 휴렛 팩커드가 유일한 구매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7][8]
7. 서버 마더보드에서의 활용
매트록스 G200 시리즈, 특히 G200e는 안정성이 높고 전력 소비가 적으며, VGA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기능을 지원하여 델의 파워엣지 시리즈와 같은 서버 마더보드에 많이 사용되었다.[6]
8. 관련 제품
- '''Rainbow Runner G'''
- 밀레니엄-G 시리즈 전용 하드웨어 비디오 캡처 및 TV 튜너 옵션 카드(PCI)이다. 밀레니엄-G 시리즈와 케이블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Marvel G200TV는 G200 8MB 버전 + Rainbow Runner G와 동등한 기능을 가진 비디오 카드이다.[2]
- '''Millennium G200 DVD Module'''
- G200 및 G100에 DVD 디코딩 기능을 추가하는 옵션 키트이다. G200 측의 연결 커넥터(LE 버전은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할 수 없음)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Matrox의 직판 사이트에서 판매되었으며, 일본 국내에서는 발매되지 않았다.[2]
- '''Millennium G200 TV OUT Module'''
- G200 및 G100에 TV 출력을 추가하는 옵션 키트이다. 최대 1024px 화면을 TV로 출력할 수 있다.[2]
- '''Millennium G200 Flat Panel'''
- G200 및 G100에 DFP 출력과 DVI 출력(부속의 DFP-DVI 변환 어댑터 사용)을 추가하는 옵션 키트이다. G200 측의 연결 커넥터(LE 버전은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할 수 없음)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D-sub15 단자와 병렬로 배치하여 1슬롯(G550과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2]
- '''Millennium G200 VRAM Add-on Module'''
- G200용 8MB 증설 메모리 모듈이다. G200 측의 전용 슬롯(SD 버전과 LE 버전은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할 수 없음)에 꽂아 비디오 메모리 용량 16MB로 사용할 수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Matrox Shipping G200
http://headline.game[...]
1998-07-27
[2]
웹사이트
AnandTech: Matrox Millennium G200
http://anandtech.com[...]
AnandTech
1998-08-10
[3]
뉴스
3D Game Benchmark Results - Forsaken Mark - Tom's Hardware : New 3D Chips - Banshee, G200, RIVA TNT And Savage3D
https://archive.toda[...]
Tom's Hardware US
1998-08-18
[4]
웹사이트
iXBT: Matrox G200 - First PreView
http://www.ixbt.com/[...]
[5]
웹사이트
Hardware Upgrade
http://www.hwupgrade[...]
[6]
웹사이트
Dell Matrox Graphics driver
https://www.dell.com[...]
Dell
[7]
웹사이트
G200 core - MURC
http://forums.murc.w[...]
2000-07-05
[8]
웹사이트
G250? - MURC
http://forums.murc.w[...]
2000-08-11
[9]
웹인용
Matrox Shipping G200
http://headline.game[...]
1998-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